12 / 14 (목) ~ 25 (월)1. CI / CD 프로젝트에 CI / CD 환경을 적용하고 관련해서 codesquad에서 간단한 발표를 하였다. 별거 아닌 일들에 시간을 너무 많이 소요되었다. 시연하는 게 생각보다 신경 쓸일이 많다는 것을 몸소 느낀 시간들이었다. 그래도 travis ci, jenkins를 이래저래 다뤄보는 경험을 할 수 있어 좋았고, 아키텍처에 대해 고민해보고 계속 뜯어볼 수 있어 좋았다. (프로젝트에 CI / CD 적용하기) 2. 비즈니스 로직요새 팀원들과 모각코를 하는 시간들이 많은데, 브라이언과 모델링에 대해 이야기하고 코딩을 하면서 정말 많이 배우는 것 같다. (이메일 인증 서비스 구현에서 나는 처음에 캐싱할 방법을 생각해내지 못해 DB에 임시 데이터를 넣는 형태로 진행했는..
12 / 04 (월) ~ 09 (토)1. 프로젝트정말 다행히도 프론트 쪽에서 세분이나 프로젝트에 참여의사를 밝혔다. 어떤 형태로 역할분담을 하실지는 좀 더 진행되어 봐야 알겠지만, 첫 인상은 '좋은 조합이다.'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이번 주에 한 일은 .. 딱히 없다 ㅡㅡ. 개발 환경구축은 이미 해봤었고, 기능명세도 어느정도 되어 있는 상태이고, 기본적인 웹 기능들은 하나하나 해결하면 될 일이라 판단하여, 필요한 API 들을 학습하는데에 시간을 보낼 계획이었다. 그런데,개발 환경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profile을 적용하는 부분에서 다소 헤맸고, gradle / maven 빌드도구를 교체하는 작업에서 꼬였었고, Travis CI + ElasticBeanstalk로 구성하는 과정에서 ElasticBeanst..
11 / 29 (수) ~ 12 / 03 (일)멍청해 보이는게 참 마음에 드네1. BirthDay이번 주는 지난 화이트 과정 사람들 중 5명이나 생일이 있는 주여서 그런지 1주일 내내 생일을 축하했던 것 같다. 그리고 최근에 이래저래 참여하는 모임들이 많아졌던 탓도 있겠다. 좋은 사람들과 함께하는 시간에 감사하고, 그 좋은 사람들의 다정함에 또 한번 감사하는 그런 한 주였다. 그리고 예상치 못한 만남이 있었다. 둘다 지금 자기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집중한다는 것을 알기에, 시간을 횡으로 가로지르는 그 녀석과의 만남이 전혀 낯설지가 않다.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들.. 그 옛날, 친구에게 받았던 음악, 꿈, 그리고 우리들.. 모든 것이 그대로다. 요사이 행복해보인다는 이야기를 종종 듣는데, 누군가 '행..
11 / 26 (일) 1. KSUG이 날의 세션은 크게 Java9 new feature, Java with HTTP/2, JSON-B/JSON-P 이다. (그리고 각각의 특징들이 Spring 5에 적용되었다는 그런 인상)Java9, Spring 5의 특징적인 부분은 최근 Public Cloud가 대세이어선지, MicroSerivce Architecture에 대한 수요를 고려한 변화들이 많았던 점이다. (Spring은 2018에 Spring Cloud Function, API Gateway 등을 지원한다고 한다 ㅡㅡ?)Java 9 Project jigsaw의 Modularity가 특히 그렇다. 패키지 위에 모듈을 둠으로써 기존 패키지 기준으로 되어 있던 자바 기반의 오픈소스들에 제약이 있을 수 있음에도 불..
개발 환경 : atom + github (+ git desktop)atom 사용기 : 자동 완성 단축키 [tab] ! + [tab] li*3 + [tab]사용 패키지1. minimap 2. pigments 3. color-picker 4. prettier-atom 5. emmet 6. gitplus 7. autoclose-htmltheme 적용 (glacier dark) - prettier-atom 세팅 (format on save)HTML semantic 태그 : 의미가 있는 태그non-semantic (, ) : 텍스트를 위한 컨테이너id : 고유 / class : 중복되도 됨 1234567891011121314/// 템플릿 Title Colored by Color ScriptercsCSS | css..
11 / 15 (수) ~ 19 (일)당분과 카페인은 목 밑까지 차오르고, 콧등에 서리는 날선 현실감은 스스로에게 포섭된 그를 끄집어낸다. 도피란 그저 희망없는 망상이라는 사실을 새삼 되새긴다. 감각은 때론 체계적인 사고보다 더욱 생생한 인상을 마음속에 남기는 것 같다. (새벽의 감성에 쓰는 뻘글..)이번주 TIL 작성한 것들을 날려서 한번 회고해보는 시간을 가져본다. (지금 2시인데 ㅡㅡ?) 이번 주는 포비가 페이스북에 남긴 구인관련 글이 무언가의 이별을 고하는 것 같아 다소 먹먹한 한 주였다. 이번 주에 학습하려 했던 주제들은 DI 프레임워크, Node JS 및 socket io vs Websocket, Jenkins CI 환경, Docker, DB Migration 도구 그리고 니콜라스의 카카오 코딩..
개발 중에 디버깅을 위해 System.out.println을 사용할 경우, 매번 I/O 작업이 발생하여 성능을 떨어뜨린다. 이 경우, 개발 중 추가한 디버깅 메시지를 실 서비스하는 시점에서 제거하거나 주석처리를 해야 한다. ㅡㅡ. 이런 부분들은 Logging 라이브러리를 사용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 대표적인 Logging 라이브러리로 SLF4J 인터페이스가 있으며, 구현체로는 log4j와 logback이 존재한다. (logback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1. pom.xml에 dependency 추가12345 ch.qos.logback logback-classic 1.2.3 cs 2. src/main/resources/logback.xml 추가123456789101112131415161718 %d{HH:..
개발 공부를 시작하고 자주 접하고 그냥 지나친 개념 중에 하나이다. 면접 질문으로도 자주 나온다고 하고, 실제로 채용공고 필요 역량에도 REST 등 인터넷 기반 프로토콜/ 기술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고 있는 기업도 다수 있다. REST하다는 것은 무엇일까?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대표적인 상태 전달' 흠.. 무슨 말인지 와닿지 않는다. REST란, "웹에 존재하는 모든 자원(이미지, 동영상, DB 자원)에 고유한 URI를 부여해 활용"하는 것으로, 자원을 정의하고 자원에 대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론을 의미한다고 한다.따라서 Restful API는 REST 특징을 지키면서 API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종의 Coding Convention이랄까. 설계원칙..
11 / 09 (목) ~ 12 (일)흠.. 어쩌다보니 TIL이 또 밀려버렸다.. 시간이 참 빠른 것 같다. 이번 주에 무엇을 했지ㅡㅡ?일단 가장 아쉬운 점은 프로젝트를 전혀 손을 대지 않았다. IA나 스토리보드도 제대로 확인하지 않았다. 기획자가 수정한 부분을 계속 공유받기는 했지만..전략을 좀 바꿀까 생각 중이다. 수업을 통해 얻는 부분이 많아, 좀 더 진행하고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는 판단이 들었다. DI까지만 우선 수업에 집중해볼까 생각중이다. (흠.. 12월, 1월 두달동안 가능할까 걱정이 들기도 하고..)금요일에는 pobi에게 java logging에 대해 학습했고 restful api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logger를 사용하는 것, 로그레벨, log를 관리하..
11 / 04 (토) ~ 05 (일)이번 주말엔 무얼 했던 걸까..누구 덕분에 오랫만에 현실감각이 깨어났다.순간의 충동에 들어온 offer, 지원가능한 직무들에 지원할까 했지만..그런데. 이런식으로 해결되면, 그걸로 나는 괜찮은 것인가 이래저래 방황하다 로그인 기능을 이번 주말까지 구현하기로 계획했던 것이 생각나, 부랴부랴 STS를 실행했다. 일단은 인증 토큰값 메일 발송 기능, 학부모/학원 회원 가입 기능, 개인 정보 수정 페이지, 로그인 기능(세션활용) 까지 큰 틀만 구현했는데(핸드폰 인증, 지역 정보 인증, 개인정보 수집 동의 체크, 입력값 유효성 검증 등 제외.. 무얼한거지 그럼//), 중복코드가 난무한다. 그리고 팝업창이 다소 쓰일것 같아 전에 만들어두었던 걸 토대로 구현했는데, 팝업창이 꺼지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