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팅은 오리뎅이님의 야학(?)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병목구간(bottleneck)이란, 인터넷을 이용하는 Client와 인터넷 Server 사이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구간 중 가장 bandwidth가 작은 구간을 말한다. 인터넷 초창기엔 서버의 media speed/스위치나 라우터의 interface/home edge단 link가 모두 100Mbps(Fast Ethernet)이었기에 병목구간이 큰 문제로 부각되지 않았다. 하지만 Gigabit ethernet이 나오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이전에는 64Kbyte의 window size로 충분히 성능을 낼 수 있었지만, 이후 인터넷 속도가 올라감에 따라 window size를 올릴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RFC 1323) 서버의 media speed..
범준님께서 전체 메일을 보내셨다. 링크된 글을 읽고 든 단상을 남겨본다. 1. 실패는 봐줘도 무능함을 봐주면 안돼 "혁신이 불확실성과 미지의 영역을 탐구하는 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실패를 용인하는 것이 혁신적 문화의 중요한 요소라는 건 당연해 보인다. ... 평범한 기술, 엉성한 사고, 나쁜 업무습관, 부족한 관리능력 등이 문제가 돼서는 안된다." 우리는 저마다의 중력감을 가지고 살아간다. 그리고 각자의 속도에 비례하여 항력을 온몸으로 받아낸다. 이를 대하는 자세에 따라 각기 삶의 방향이 달라진다. 비상하는 여정일지라도 추락은 수반된다. 하지만 그것이 단순히 미숙함때문이라면, 삶을 지탱하는 근력을 키워야 하지 않을까.. 2. 실험은 과감하게, 규율은 엄격하게 "규율이 없으면 사실상 모든 행위가 실험이란 ..
Elasticsearch은 어떤 구조로 검색하는가?(하기 내용은 '실전비급 아파치 루씬 7' 저자들이 진행한 스터디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검색엔진으로 시작했지만, 더이상 검색엔진으로만 사용되지 않고, 분산시스템이라는 목적이 크다. 검색엔진이 비정형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은 크게,문서 수집 -> 문서 정제 -> 문서 데이터 색인 -> 문서 검색 순으로 이루어진다.- 문서 수집 : 검색하려는 대상을 수집한다.- 문서 정제 : 수집된 비정형 문서를 정형 데이터로 정제하고 가공한다.- 문서 데이터 색인 : 정제된 문서를 빠르게 검색 가능한 구조로 저장한다.- 문서 검색 : 문서 정보에서 검색어를 찾는다. Elasticsearch는 Lucene에 인터페이스를 입혀서 런타임, 분산검색, 데이터제공 등을 하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