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팅은,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을 읽고 진행하는 스터디의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성능이란 무엇일까? 암달의 법칙 성능 개선율 = 1/((1-P) + P/S) P: 개선 가능한 부분의 비율 S: 개선된 정도 즉, 성능 개선에는 한계가 생길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인지하고 작업하여야 한다. 튜닝은 아래의 단계로 진행된다. 1) 원인파악 : 병목지점 파악 2) 목표설정 3) 튜닝실시 4) 개선율 확인 5) 결과 정리 및 반영 결국, 튜닝이란 부하의 원인을 알고 이를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부하는 어떻게 확인할까? 우선, 부하를 계측하고자 할 때 top, uptime 등의 툴을 사용하여 Load Average를 확인한다. Load Average가 낮은데 전송량이 오르지 않는 경우 소프트웨어 ..

많은 개발자들이 좋은 개발 문화를 원한다. 그런데 정작 좋은 개발 문화를 정의하는 이는 드물다. 아니, 무슨 신대륙을 찾아 떠나는 것도 아니고, 좋은 개발 문화가 있는 회사를 찾는다는 것은 무슨 말일까. 그저 희망 없는 현실을 도피하려는 망상인건 아닐까. 좋은 + 개발 + 문화 쪼개서 생각해보자. 우선, 문화는 개별성을 가진다기보다 상호작용의 결과이기에, 그저 표징을 따라 한다고 표상이 구성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우아한형제들, Line, Google 등 회사의 DR(Developer Relations) 활동을 모방한다고 그러한 문화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개발은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이다. 과정의 참여자를 개발자로 한정할 경우 개발 문화는 개발 프로세스를 의미하고, 그 외연을 확장할 경우 조직문화..

1) OSI 7 Layer 중 L1,L2 1계층 - Physical Layer - 역할: Bit Stream(이진수 흐름)을 전기, 빛 등의 신호로 변환 - PDU: Bit - 대표장비: 케이블(LAN-UTP, WAH-Serial), 허브, 리피터, 커넥터(LAN-RJ45) 등 2계층 - Data-Link Layer - 역할: 물리적 주소를 이용해 노드(L2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는 3계층 이상의 장비) 간 연결 - PDU: Frame - 대표장비: 브릿지, L2 스위치 등 - 프로토콜 및 기술: LAN - Ethernet Protocol, WAN - PPP, HDLC 등 2) Collision Domain & Broadcast Domain Collision Domain이란, Half Duplex로 다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