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글은 구글 스터디잼 Kubernetes in the Google Cloud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합니다. 해당 과정의 Link는 https://run.qwiklabs.com/quests/29 Kubernetes란 무엇일까? (https://kubernetes.io/ko/docs/concepts/overview/what-is-kubernetes/) - Kubernetes는 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와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이식성이 있고, 확장가능한 오픈소스 플랫폼이다. Kubernetes에 대한 첫 인상은, - 컨테이너 기반이므로, VM 이미지를 사용하는 방식보다 이미지 생성이 쉽고 효율적이겠다. (지난 공감세미나에서 보았듯이, Container를 활용하면 Cold booting을 없앨 수 있다..
'비효율적이었다.'회고를 시작하며 제일 먼저 든 생각이다. 늘 무언가 바빴으나 항상 만족스럽지 않았다. 앞으로 좀 더 몰입하기 위해 올 해의 나를 좀 분석해볼 필요가 있겠다. 1. 어떤 일들이 있었는가상반기는 창업도전, 취업 그리고 독자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경험을,하반기는 Ad-tech 생태계 이해, AWS 인프라 개선 및 보안 정책 수립(이후 승진!), 제주도 워크샵, 빅데이터 플랫폼 구성과 대규모 레거시 코드 리팩토링 경험이 주를 이뤘다.2. 그 과정 속에서 얻은 것은,노력의 정도는 변동성이 크지 않았으나, 후반부로 갈수록 성과가 컸던 것은 명확한 목표설정과 합리적인 업무할당을 해주셨던 허 수석님 덕분이다. 우리는 인턴부터 CTO까지 많은 동료가 이탈하는 혼란속에서 팀의 안정화를 찾고 프로젝트를..
0. 퇴근하는 길에..동료가 맵리듀스를 공부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장난기가 발동했다. 왜 맵리듀스냐, Spark는 어떤가, 하둡이 뭐냐, 그런데 왜 분산이어야 하지, RDBMS로는 안되나, Postgres는 어떤가.. 계속 꼬리 물기 질문을 주고 받다가, 문득 정리해두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1. Spark란 [Docs]1) Spark는 고속 범용 분산 컴퓨팅 플랫폼이다.2) 사용자가 클러스터를 다루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 필요가 없도록 설계된, 컬렉션 기반의 API를 제공한다.3) Spark는 MapReduce와 유사한 일괄처리 기능, 실시간 데이터 처리기능, SQL과 유사한 정형 데이터 처리 기능, 그래프 알고리즘,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모두 단일 프레임워크로 통합했다. [관련 글] 2. W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