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랜만에 즐거운 시간이었다. 회사생활, 교육, 스터디 등을 통해 얻는 즐거움도 상당하지만, 이건 좀 뭔가 더 자극적이다.
얼마전 AWS DNA 모집 공고를 보았다. 지난 해 신청을 했다가 캘린더를 보고 취소 요청을 했었던터라, 올해는 바쁘더라도 신청을 해야겠다 마음 먹었다. 경쟁률이 상당하다고 들었고, 실제로 주변 지인들이 떨어졌지만 나는 붙었다. (왜지?! 🙄)
AWS DNA. Digital Native Architects의 줄임말로, 대략 AWS로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이들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인듯 싶다. AWS의 기능은 빠르게 업데이트되는데 비해 현업 엔지니어는 수동적이다. 기존의 기술들로도 현재의 문제를 잘 해결해나가고 있고, 특정 기술에 lock-in 되는 것에 거부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하지만 Public Cloud는 상당히 안정화되었고, 비즈니스 핵심 가치에 집중하기 위해서라도 관심사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
AWS DNA는 AWS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을 체험하게 해준다. 기술에 대한 깊이있는 학습을 전달하기 보다, Solutions Architect 분들이 설계한 시나리오대로 수행해본다. 목적의식이 분명하다면, 현업에서 적용할 것들을 생각해보고 테스트해보기 좋은 구성으로 짜여져있다. 즉, '너희는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해. AWS 위에서'라는 메시지가 곳곳에 스며있다.
과정은 대략 2달 정도 진행했다. 7개의 세션과 2번의 jam 대회가 있다.
> https://pages.awscloud.com/kr-aws-dna-online-reg.html
개인적으로 Network에 강점이 있다고 생각했는데, 2회차 세션은 또다른 인사이트를 주었다. TransitGateway 핵심 컨셉을 이해하고 실습해볼 수 있어서 좋았고, GSLB, Network Firewall 등 서비스를 알게 되었다.
4회차에 진행했던 실습을 바탕으로 사이드 프로젝트 배포 환경을 구성해보았다. 이번 실습 이후에 spinnaker documents를 보고 직접 구성한 후 부하테스트를 진행하며 리소스 관리도 해보고, 운영도 해보면서 k8s에 대한 이해도 조금 깊어졌다. 다른 세션들도 깊게 몰입해보고 적용해보고 싶었지만 병행하던 스터디와 강의 일정으로 시간을 내기가 어려웠다. 그리고 sagemaker는 기본 지식이 상당히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WS DNA하면, jam 대회가 기억날 거 같다. jam 대회란 대략 10개 정도의 문제를 주고 팀이 공동으로 수행하는 방식이다. 문제상황은 네트워크, 배포, 보안 등 다양하다. 난이도에 따라 점수가 할당되어 있고, 힌트를 볼수록 차감되는 방식이다. 현황판이 있어 묘한 경쟁의식을 부추긴다. 가령, pem 키를 잃어버렸을 경우 등의 문제상황을 부여하고 각자 계정으로 접속하여 제한된 권한으로 문제가 주어진다. 문제를 해결하여 서버를 띄우면 특정 문자열을 얻을 수 있고 이를 정답으로 제출하면 점수를 얻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2번 모두 우리팀은 2등을 했는데 😫 첫번째는 힌트를 아에 안보고 했던 것이 아쉬웠고, 두번째는 내가 너무 못했던 것이 여운이 남는다. 3~4년 전만해도 AWS를 꽤 안다고 생각했는데, 여전히 사용하던 것들만 사용하다보니 이렇게 되었나 싶다.
AWS DNA는 다양한 회사의, 다양한 경험을 한, 다양한 연차의 사람들이 모여 함께 학습하고 지식을 공유하고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이다.
전반적으로 구성이 참 알차다. 과정 중간중간 이벤트들도 재미있었고, 수강생들의 피드백을 받고 개선하는 모습들도 너무 좋다. 끝나고 받은 후드티도 고퀄이었다! 🙇🏻♂️ 몰입하지 못해서 너무 아쉬웠지만, 덕분에 무엇이 부족한지도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AWS의 다양한 기술들을 실무 관점에서 생각하고 경험해보고 싶은 분들이라면 적극 추천한다.